생과방
![생과방 메인이미지](./images/saenggwabang-main.png)
생과방
“ 예로부터 드물다는 나이에서도 이제 10년을 더하게 되었는데,
이는 건공탕 (建功湯)으로 지탱한 것이다. ”
- 영조 -
소개
경복궁 생과방 프로그램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 오늘날에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유료 체험 프로그램 입니다.
‘국왕과 왕비’의 후식과 별식을 준비하던 곳으로 ‘생물방’ 혹은 ‘생것방’이라고도 불렸습니다.
경복궁 생과방 프로그램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
오늘날에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유료 체험 프로그램 입니다.
안내
궁중병과
구선왕도고
×2022년 경복궁 생과방에서만 맛 볼 수 있는
향기로운 떡입니다.
[ 재료 ] 마, 잣, 금귤, 연근, 꿀, 식용금박
마를 쪄서 꿀에 담갔다가 찹쌀가루를 입혀 기름에 지져낸 후 잣고물을 묻힌 떡.
![s1](./images/snack1.jpg)
호두정과
×각종 영양이 가득하여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
어린이들의 두뇌 발달에 좋은 별식입니다.
[ 재료 ] 마, 잣, 금귤, 연근, 꿀, 식용금박
꿀에 호두를 넣어 조린 뒤 노릇하게 튀겨낸 전통 과자.
![s2](./images/snack2.jpg)
매작과
×'매화나무에 참새가 앉아 있는 형상의 한과'라는 의미로 궁중에서는 매엽과(梅葉菓)라고 불렸습니다.
[ 재료 ] 밀가루, 땅콩가루, 물엿, 설탕, 콩기름, 꿀, 소주, 소금
밀가루를 납작하게 밀어 자르고, 뒤집어 모양을 내 기름에 튀긴 후 땅콩가루를 묻힌 한과
![s3](./images/snack3.jpg)
사과정과
×정과는 조선시대 장국상·큰상, 제례음식에
반드시 쓰인 전통과자 입니다.
[ 재료 ] 사과, 설탕
사과를 쪄 설탕을 뿌려 물기를 빼고, 채반에 널어 말린 정과
![s4](./images/snack4.jpg)
주악
×조선시대 귀한 손님이 왔을 때 다과상에 꼭 올라가던 음식입니다.
[ 재료 ] 찹쌀, 소금, 밀가루, 막걸리, 설탕, 대추, 생강, 조청
불린 찹쌀을 소금으로 간하고 빻아 체에 내린 후 설탕, 끓인 막걸리와 함께 반죽해 치대서 만든 떡
![s5](./images/snack5.jpg)
약과
×약이 되는 과자라는 뜻으로 [조선상식]에서는
'조선에서 만드는 과자 가운데 가장 온 정성을 들여 만드는 과자'로 극찬하였습니다.
[ 재료 ] 꿀, 청주, 생강, 조청
밀가루에 소금, 설탕으로 간하고 청주와 생각을 넣어 반죽한 뒤 튀긴 과자
![s6](./images/snack6.jpg)
강계다음
×다음(茶飮)은 약으로 쓰는 재료를 차처럼 가볍게 마실 수 있게 만든 음료입니다. 평소 건강관리나 기운을 보충할 목적으로 사용했으며, 영조임금이 승하직전 몸의 온기를 되살기기 위해 드셨다고 합니다.
[ 재료 ] 생강, 계피, 귤피, 대추
![t1](./images/tea1.jpg)
담강다
×동의보감에서 생강은 담을 없애고 기를 내린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. 소화불능을 앓던 순조 임금의 건강을 위해 조선 왕실에서 소화를 돕는 목적으로 즐겨 마셨습니다.
[ 재료 ] 생강, 꿀
![t2](./images/tea2.jpg)
감국다
×감국은 황국이라고도 하며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숙종과 영조가 건강을 위해 곁에 두고 마셨는데 주로 화가 날 때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자 마셨습니다.
[ 재료 ] 국화, 구기자
![t3](./images/tea3.jpg)
삼귤다
×기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는 귤껍질에 인삼을 더한 차로 병을 다스리기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만큼 귤껍질은 조선시대 내내 주요 약재로 사용되었습니다.
[ 재료 ] 인삼, 귤피, 대추
![t4](./images/tea5.jpg)
제호차
×속을 따듯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겉은 뜨겁고 속은 차가워지기 쉬운 여름철에 좋은 차입니다. 정조 임금이 여름철에 신하들을 위해 제호탕을 하사한 기록이 있습니다.
[ 재료 ] 인삼, 귤피, 대추
![t5](./images/tea6.jpg)
오미자
×신맛, 쓴맛, 단맛, 아린맛, 짠맛의 다섯가지 맛을 가지고 있다는 뜻의 오미자는 조선시대 중종의 갈증을 치료하기 위해 차로 만들어 올려졌던 약차입니다.
재료 : 오미자
![t6](./images/tea4.jpg)
![궁중병과1](./images/snack1.jpg)
구선왕도고
3,000원
![궁중병과2](./images/snack2.jpg)
호두정과
1,000원
![궁중병과3](./images/snack3.jpg)
매작과
1,000원
![궁중병과4](./images/snack4.jpg)
사과정과
1,000원
![궁중병과5](./images/snack5.jpg)
주악
2,000원
![궁중병과6](./images/snack6.jpg)
약과
1,000원
궁중약차
![궁중약차1](./images/tea1.jpg)
강계다음
5,000원
![궁중약차2](./images/tea2.jpg)
담강다
4,000원
![궁중약차3](./images/tea3.jpg)
감국다
4,000원
![궁중약차4](./images/tea5.jpg)
삼귤다
4,000원
![궁중약차5](./images/tea6.jpg)
제호차
4,000원
![궁중약차6](./images/tea4.jpg)
오미자
4,000원
운영기간
기간
매일
(휴무 : 매주 월요일, 눈올 때, 비올 때, 영하 5도 이하, 혹서기)
시간
11:00, 14:00, 15:30
(1일 3회 진행, 소요시간은 20분 입니다.)
참여방법
생과방 ‘호궤소’ 방문 → 궁중병과 및 약차 선택 → 좌석 배정 및 안내 → 다과시식 (시식시간은 1시간입니다.)